RF amplifier
금농엔지니어링 www.kumnong.co.kr
일반적으로 파워메터로 파워레벨을 측정시 측정한 사람들마다 각기 다른 값을 측정한다. 그렇다면 누가 과연 맞는 측정을 한 것인가?. 파워를 측정하는 장비는 사용이 쉬운 파워메터 또는 와트메로 주로 측정한다. 파워메터는 현재 디지털값으로 데시벨 또는 와트로 측정가능하다. 그런데 측정장비가 정확하다면 앞서 얘기한 측정하는 사람마다 다른 값으로 측정이 되는것일까?. 의문이 들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실 수를 발생하는 것을 이해하고 바르게 측정 값을 갖는다면 측정 정확도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대부분의 신호의 파워레벨을 측정하는 파워메터 어플리케이션에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원하는 신호의 파워레벨을 파워메터가 측정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간과하고 있다. 반면에 파워메터는 센서의 전체주파수대역의 전체파워를 측정하고 있는것이다. 센서는 대역이 측정목적이 무한대로 되어있는데도 불구하고 그러하다.
Power meter 와 와트메터 비교
대부분 사람들이 알고 있는것처럼 파워메터는 와트메터와 비교하여 절대적으로 우수한 측정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 파워메터와 와트메터의 차이는 무엇일까/.일반적으로 와트메터는 광대역파워를 측정하는면에서는 비슷한 장비이다. 그러나 주파수를 고려하지 않은 파워메터를 사용한다면 그것은 와트메터를 사용하는것과 같다. 규정된 파워메터능력만 믿고 측정하는 것은 파워메터를 신뢰하는 우리들의 오해이다. 다음에서 우리는 파워메터측정에서 주파수를 어떻게 연관짓고 이해하느냐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보정요소
교정을 하지않는 파워메터센서는 보통 주파수에 의한 교정이나 보정을 보이는 그래프나 도표를 함께한다. 대부분 사용자는 퍼센트로 표시되는 기준 교정인자를 갖고 기준주파수범위에서 파워메터를 교정한다 예를 들어 50Mhz대역과 같은… 그러나 모든 다른 수치는 무엇인가?. 그것들은 기준 CF와 같은 보정요인이 있다. 그리고 센서의 전체측정범위안에 그들의 주파수에서 측정센서에 대한 파워의 응답을 표시한다. 그 숫자는 전체측정범위의 응답에서 보통 퍼센트(%)이다. 그리고 80% 또는 100%에 연관하여 변화되어진다 만약 센서기준 보정인자가 100%이고 관심있는 신호의 주파수의 보정인자가 95%인경우 대부분 사용자가 그러하듯 교정을 시행하고 신호포트에 센서를 끼우고 측정을 한다. 이경우 우리는 5%의 에러를 또는 0.2dB의 오차를 갖는 것을 알수있다. 90%이하의 보정인자요소를 사용한 이후 측정한 파워메터는 어떤 다른 생각 할 수 있는 불확실성을 제외하더라도 10%의 의한 에러를 갖게될 것이다. 측정된 파워가 센서범위안에 있을경우 신호대 잡음비는 허용가능하다 그리고 측정포트의 VSWR역시 허용가능하다. 그리고 에러를 개선하기위해 해야할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측정주파수의 연관성을 설명해야한다.
고출력레벨을 측정하는데서 측정정확도는 낮은 출력에서 측정하는 파워레벨에서 크게 차이가 난다. -20dBm에서 0.2dB에러는 단지 0.5uW이다 그러나 +55dBm에서 에러는 15W이다.
RF amplifier
'rf pow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열추력기 테스트 100W power amplifier (0) | 2022.10.20 |
---|---|
HF & UHF RF 증폭기 (0) | 2022.10.14 |
RF Amplifier, 파워증폭기 (0) | 2022.10.14 |
초음파진단 실험 파워엠프 (0) | 2022.10.13 |
댓글